Linux 리눅스/CentOS

CentOS 7 명령어 모음

Shinit0519 2020. 6. 16. 10:59

cd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보통 옵션이 없이 사용한다.

ex) cd /

pw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를 절대경로 표현법으로 출력한다.

ex) pwd

rmdir

지정한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디렉토리가 비워져 있는 경우만 삭제 가능하다.

ex) rmdir ab

mkdir

지정한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생성된 디렉토리는 생성한 유저의 소유가 된다.

옵션

-p

하다면 생성하고자 하는 상위의 디렉토리까지

생성한다.

ex)mkdir -p /ab/a

ls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을 출력한다

옵션

-a, --all : 숨겨진 파일의 목록까지 출력

-l : 파일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출력

-R : 하위 디렉토리의 내용까지 출력

-h :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파일의 크기를 출력

-k : kb단위로 파일의 크기출력

-i : 파일의 inode 번호를 같이 출력 (고유번호)

ex) ls -a

cat

cat [옵션] [출력 대상 파일]

옵션

-n : 행 단위 번호

-b : 공백 라인을 제외하고 행 단위 번호

ex) cat -n a.txt

cat

파일의 입출력 제어

cat [< 입력파일 > 출력파일]

ex) cat a.txt (파일을 출력한다)

cat <a.txt> b.txt (a.txt파일을 b.txt에 출력함 = 복사)

cat > a.txt (a.txt 파일을 만든다)

echo

환경 변수나 입력내용을 출력

echo [환경변수 | 문자열]

ex) echo 1 > a.txt (내용 1인 a.txt를 만든다)

c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한다.

cp [옵션] 원본파일 복사파일명

옵션

-a : 원본의 속성유지

-r : 하위 디렉토리나 파일모두 복사

-f : 강제 실행

-p : 파일의 소유와 권한등을 보존한채 복사

-u : 새파일 덮어쓰기 금지

ex) cp -p a.txt b.txt

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한다.

# mv [옵션] 원본파일 이동파일명

옵션

-f : 강제 실행

-b : 파일이 덮어 쓰여질 경우 백업파일을 생성한다.

-d : 디렉토리 삭제

- i : 삭제전 일일이 삭제여부 확인

-v : 삭제 파일 만들기

ex) mv -f a.txt a/ (a디렉토리로 이동)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 rm [옵션] 대상파일

옵션

-f : 강제 실행

-r : 대상 중에 디렉토리가 있는 경우 디렉토리도 삭제

ex) rm -f a.txt

ln

link 파일 생성 (soft, hard)

심볼릭 링크(soft)

# ln [옵션] 원본파일 링크파일

옵션

-s : soft link 생성 (디렉토리의 경우 soft link만 가능)

-f :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지우고 link파일 생성

ex) ln a.txt b.txt

grep

필터링

출력 문자열중에 원하는 단어나 글자가 들어있는 라인만 출력

하고자 할때 이용

command | grep [필터링 문자열]

ex) ls –a /etc | grep conf(루트 아래 etc디렉토리의 모든 confg파일 출력)

find

파일시스템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검색한다.

# find 검색경로 검색조건1 검색조건2 …

검색조건

-name : 파일명으로 검색 (와일드카드문자 사용)

-perm : 특정 퍼미션을 가진 파일을 검색

-empty : 크기가 0인 파일 검색

검색조건

-user 지정한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

-group 지정한 구룹이 소유한 파일

-nouser 소유자가 없는 파일

-nogroup 그룹 소유자가 없는 파일

-type 검색하고자 하는 파일의 종류 지정

b(block), c(char), d(dir), l(slink)

f(regular)

-mount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만 검색

ex) find /var/ -name *.conf

find 명령 에러

find: paths must precede expression:……

-name 옵션 사용시 문자열을 인식하지 못하는 에러이다.

이런 경우 문자열에 ‘를 추가한다.

find / -name *.txt find / -name ‘*.txt

tar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압축한다. 단 용량은 줄어들

지 않는다.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gzip을 이용하거나 특별

한 옵션을 이용한다.

# tar [옵션] [압축파일명] [대상]

옵션

-c : 압축, -x : 풀기, -v : 작업내용을 출력

-z : gzip를 이용 압축(압축해제), -j : bzip2 이용

-f : 파일명을 지정, -p : 퍼미션 유지

ex) tar cvfz aa.tar.gz aa(디렉토리 aa를 aa.tar.gz파일명으로 압축)

gzip

• # gzip a.txt : a.txt.gz로 압축한다.

• # gzip -d a,txt.gz :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 bzip2, compress, cpio

# bzip2, compress : 압축

# bunzip2, uncompress : 압축 해제

# cpio –idmv < [압축파일명] : 압축해제

clock

리눅스 시스템에 탑재된 BIOS의 시간을 출력하거나 변경한다.

# clock [옵션]

옵션

-r : BIOS의 시간을 읽어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

-w : 시스템의 시간을 이용 시간을 변경한다.

-s : BIOS의 시간으로 시스템의 시간을 변경한다.

ex) clock -r

rdate

인터넷상에 제공되는 서버로부터 시간정보를 받아 시간을 출

력하거나 시스템의 시간을 재설정한다.

# rdate [옵션] [시간 제공 서버 주소]

옵션

-p : 타임 서버로 부터 제공된 시간을 출력한다.

-s : 타임 서버로 부터 제공된 시간을 이용 시스템의 시간을

재설정한다.

ex) rdate -p time.bora.net

rdate -s time.bora.net

stat

파일의 시간 정보를 출력한다.

ex) stat a.txt

리눅스 파일의 타임 스탬프

• atime

- 파일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

- 시스템이나 응용프로그램이 마지막으로 파일에 접근한 시간

• ctime

- 파일의 퍼미션 등 속성이 변경된 시간.

• mtime

- 파일의 내용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

- mtime이 수정되면 ctime도 수정된다.

vi 실행

- vi 에디터는 반드시 파일명을 추가해서 실행한다.

# vi 파일명

ex) vi a.txt

- 명령모드 : 입력이 외의 편집작업 단축키 esc

- 입력 모드 : 데이터 입력 및 수정 단축키 a

- 실행 모드 : 파일 저장, 종료 단축키 ;

x (글자 삭제)

dd (라인 삭제)

dw (단어삭제)

D (커서뒷부분 삭제)

:wq (저장 후 종료 )

:q! ! (저장하지 않고 종료 )

:w [파일명] (저장 또는 지정한 파일명으로 내용저장)

- 새 이름으로 저장하는 방법은 Windows와 다름으로

주의한다.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를 확인 하거나 설정을 변경한다.

• 변경 내용은 영구적이지 않다 (재부팅시 사라짐)

ex) ifconfig

네트워크 설정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IC명

-> 네트워크 설정 : IP, subnetmask, gateway …

/etc/resolv.conf

-> DNS Server

/etc/hostname

-> 호스트명

 추가 설정 파일

• /etc/sysconfig/network

-> 호스트명, gateway, NOZEROCONF=yes

cat - 네트워크 설정파일 볼때

vi - 네트워크 설정파일 수정할때

ex) cat /etc/sysconfig/network

ex) vi /etc/sysconfig/network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TYPE=Ethernet

DEVICE=nic명

ONBOOT=[yes/no]

BOOTPROTO=[static/dhcp/bootp/none]

UUID=UUID명

IPADDR=IP

PREFIX=Subnet Mask

GATEWAY=gateway 주소

DNS1=dns 서버 주소

NETWORK=Network 주소

ex)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도메인명 확인

/etc/resolv.conf

search [default 도메인명]

nameserver [DNS 서버 IP]

ex) cat /etc/resolv.conf

네트워크 재시작

# systemctl [stop | start | restart] network

• 파일을 수정한 이후에는 반드시 네트워크를 재 시작 해야 한다

• CentOS6 이전 버전

# service network [stop | start | restart]

ex) systemctl restart network

네트워크 수동설정

ntsysv

네트워크 설정을 수동으로 설정한다

해제방법 ntsysv 명령어 해당 항목에서 스페이스바로 체크 해제

ex) ntsysv

[ ] ModemManager.service ▒ │

[ ] NetworkManager-dispatcher.service ▒ │

[ ] NetworkManager-wait-online.service ▒ │

[ ] NetworkManager.service

네트워크 매니저 설정

ntsysv

네트워크 설정을 네트워크 매니저를 이용해서 설정한다

ntsysv 명령어 후 해당 항목 스페이스바로 체크

ex) ntsysv

[*] ModemManager.service ▒ │

[*] NetworkManager-dispatcher.service ▒ │

[*] NetworkManager-wait-online.service ▒ │

[*] NetworkManager.service

ping

특정 호스트까지의 연결과 대상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확인한

다.

# ping [ip]

ex) ping 192.168.10.212

netstat

시스템의 연결상태, 포트, 인터페이스등의 상태와 통계정보를

확인해서 네트워크 상태 진단하는 프로그램

# netstat [옵션]

옵션

-i :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s : IP, ICMP, TCP, UDP 에 대한 패킷 통계정보

-nr : 라우팅테이블 확인

ex) netstat -i

arp

패킷을 송수신한 대상의 MAC 주소를 확인한다.

옵션

- a : arp 목록 전체 출력

- s : arp 정적 등록

- d : arp 및 삭제

ex) arp -a

• arp 초기화

# ip –s neigh flush all

host

도메인 명에서 ip를 확인하거나 ip를 이용 도메인 명을 확인

ip로 도메인을 확인하는 것은 rev zone을 확인하는 것이므로

도메인 설정을 확인하는 것으로는 큰 의미가 없음

ex) host www.naver.com

Traceroute(tracert)

출발지 시스템에서 목적지 시스템까지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

ex) tracert www.naver.com

route

라우팅 경로를 확인하거나 수정한다.

ex) route

IP aliases

하나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로 구현 IP를 여러 개 설정하는 방법

원래 경로인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뒤에 :0, :1 등 숫자를 붙여 구분한다

설정하는법

임시 설정(네트워크 재시작시 사라짐)

ifconfig 명령어에 인터페이스 이름과 아이피 주소를 입력

ifconfig ens32:0 192.168.10.10

ex) ifconfig ens32:0 192.168.10.10(인터페이스 ens32:0 ip주소 192.168.10.10으로 설정)

시스템 설정(재시작해도 사라지지 않음)

vi를 이용해 시스템 파일을 수정한다(파란색 수정)

ex)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0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none

……………

NAME=ens32:0

UUID=8560da57-5452-4b7b-98ab-cc93fc86ee4e

DEVICE=ens32:0

ONBOOT=yes

IPADDR=192.168.10.32

패킷 포워딩

# sysctl –a | grep forward

# sysctl –w net.ipv4.ip_forward=1 (공백없음)

or

# echo 1 > /proc/sys/net/ipv4/ip_forward

or

/etc/sysctl.conf 파일에 ‘net.ipv4.ip_forward = 1’

을 수정(추가)한다.

파일 추가후 sysctl –p 명령을 실행한다.

ex) sysctl –a | grep forward

sysctl –w net.ipv4.ip_forward=1 (공백없음)

sysctl -p

라우터 테이블에 ip 설정

윈도우

10.3 에서 192.168.12.* 네트워크 접속 설정

route –p add [IP] MASK [MASK] [GW_IP]

route –p add 192.168.12.0 MASK 255.255.255.0 192.168.11.254

리눅스

11.11 에서 192.168.12.* 네트워크 접속 설정

route add – – net 192.168.12.0 netmask 255.255.255.0 gw 192.168.11.254

방화벽 설정

ntsysv

firewalld.service 체크해제

[root@linux ~]# vi /etc/selinux/config

# This file controls the state of SELinux on the system.

# SELINUX= can take one of these three values:

# enforcing - SELinux security policy is enforced.

# permissive - SELinux prints warnings instead of enforcing.

# disabled - No SELinux policy is loaded.

SELINUX= disabled

# SELINUXTYPE= can take one of three values:

# targeted - Targeted processes are protected,

# minimum - Modification of targeted policy. Only selected

processes are protected.

# mls - Multi Level Security protection.

SELINUXTYPE=targeted

ex) vi /etc/selinux/config

SELINUX= disabled 으로 수정

사용자 관리

사용자 등록 정보

- /etc/passwd

#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계정:암호:UID:GID:주석:홈디렉토리:쉘

사용자 패스워드, 암호정책 정보

- /etc/shadow

# cat /etc/shadow

ora12c:$1$EyiB87fi$VcYrH1VIxKKeqq9tq/:13443:0:99999:7:::

계정 : 암호 : 최종변경일 : 암호변경까지 남은날 : 암호 유효기간 :

암호 만료까지 경고기간 : 암호만료뒤 계정 폐쇠까지 기간 :

계정이 민료일 : 예비

그룹의 등록 정보

- /etc/group

- groupadd 명령을 이용 그룹 등록

# cat /etc/group

root:x:0:

dba:x:1100:ora12c,ora11g,ora10g,root

그룹명:암호:GID:소속 계정

- 계정은 여러 그룹에 속하고 기본 소속 그룹은 /etc/passwd 파일

에 등록 된다

그룹 등록

groupadd

사용자를 등록하기 전에 반드시 사용자가 속할 그룹이 먼저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 groupadd [-g [그룹번호]] [그룹명]

ex) groupadd st

옵션

-g : 생성 그룹의 GID 번호를 지정한다.

- 할당하지 않으면 1001 이상 중복되지 않은 값으로 GID가 자동으

로 할당된다.

- GID번호는 식별자일 뿐 값 자체에는 의미가 없다.

-r : 1000번 이하의 GID 번호를 자동으로 할당한다.

- 1000번 이하의 GID는 시스템이 daemon이나 관리 목적으로 사

용함으로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o : 중복된 GID 번호 할당이 가능하다.

- GID 가 같고 이름이 다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 이름이 같고 GID가 다른 그룹은 생성 할 수 없다

그룹 삭제

groupdel

그룹삭제는 반드시 그룹명을 이용한다.

# groupdel [그룹명]

ex) groupdel st

유저 생성, 계정 생성

useradd (adduser)

# useradd [옵션] [사용자명]

ex) useradd - g 1600 -u 1601 st01

옵션

-u : uid지정

-g : gid나 그룹명지정 (default : 계정명)

-d : 홈디렉토리 지정 (default : /home/[계정명])

-G : 보조 그룹 지정

-D : 기본 설정 확인 및 변경

-s : 쉘 지정

. 로그인이 필요 없는 관리용 계정은 /sbin/nologin으로 설정한다.

유저 수정

usermod

usermod [옵션] [인자값][계정]

옵션

-u : 사용자 UID 변경

-g : 사용자 그룹변경

-d : 사용자 홈디렉토리 변경

ex) usermod -u 1111 user1

계정 삭제

userdel

# userdel -r [사용자명]

ex) userdel -r st01

옵션

-r : 계정에 귀속된 홈디렉토리와 mailbox등을 모두 삭제한다.

- 계정 삭제시 반드시 사용한다.

특별한 사용자 생성 옵션

옵션

-M : 메일 전용 계정 생성

. 홈디렉토리가 생성되지 않는다.

- r : 999번 이하의 UID 자동 할당

. 서비스를 위한 더미 계정으로 보통 실 사용자가 없다.

. Shell은 /sbin/nologin으로 지정한다.

. 홈디렉토리가 생성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암호 변경

passwd

관리자는 다른 사용자의 암호를 임의로 변경 할 수 있다. 단 다른 사용자의 암호를 알수없다.

# passwd [사용자계정]

ex) passwd st01

사용자 생성과정

① /etc/default/useradd, /etc/login.defs

② /etc/passwd, /etc/group

③ 홈디렉토리 생성

④ /etc/skel/ 파일 복사

⑤ /var/mail/ 계정 파일 생성

사용자 생성 설정

 /etc/default/useradd

• GROUP : 기본등록 그룹의 GID

• HOME : 생성될 홈 디렉토리의 위치

• INACTIVE : 패스워드 만료 이후의 유효(기간)여부설정

• EXPIRE : 계정종료일자지정

• SHELL : 기본 사용 쉘 지정

• SKEL : 홈 디렉토리에 복사할 기본환경파일위치

• useradd -D 를 이용 수정한다.

useradd -D [옵션]

-b : 홈디렉토리 수정

-g : 기본 그룹 변경

-s : 기본 쉘 변경

-m : skel 디렉토리 변경

-e : 패스워드 만료일 변경

-f : grace 기간 변경

리눅스 파일 구조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토리

l 링크 파일

b 블록 디바이스 파일

c 문자 디바이스 파일

퍼미션(Permission)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허가정도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소유자(user), 그룹소유자(group), 이외 모든 사용자(other)로 구별한다.

접근 권한에는 r,w,x,t 등의 권한으로 구별한다

rwx rwx rwx

User(u) Group(g) Other(o)

파일 디렉토리

r 읽기 파일목록

w 쓰기 파일 생성(삭제)

x 실행 들어가기

표기 (8진수) : 퍼미션은 각 문자의 합으로 표현

r : 4, w : 2, x : 1

ex) rwxr-xr-x : 755

ex) rwxr--r-- : 744

퍼미션

chmod

퍼미션 수정 명령

# chmod [옵션] [퍼미션 ] [파일]

• 옵션

-R :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수정

ex) chmod 755 a.txt

chmod -R 644 ./a/

대상 : u(user), g(group), o(other), a(all)

operator : +(추가), -(삭제), =(변경하지 않음)

퍼미션 : r,w,x,s,t

ex) chmod -R o+x,g-x a.txt

suid, sgid, sticky bit

suid, sgid

suid는 루트가 아닌 사용자들이 잠시동안 루트 등의 다른 계정의 권한을 빌려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필요가 있을 때를 대비하여 부여하는 권한 설정이다

실행 파일에만 적용된다. 파일이 실행된 프로세스는 실행한 사용자

소유로 실행 권한이 부여되지만 suid, sgid를 설정한 파일의 프로

세스는 소유자나 그룹 소유자의 ID로 실행된다. 실행 권한에 s로 명시된다.

suid : 4000, u+s

sgid : 2000, g+s

sticky bit

파일에 대해서 퍼미션과 관계없이 소유자만 삭제 가능하게 할 때

디렉토리에 other 권한을 제한한다.

- Other을 대상으로 설정한다.

- 모든 권한 허가가 가능하지만 삭제는 소유자만 가능하다.

- 1000 : o+t

suid(4), sgid(2), stick bit(1)

suid와 sgid는 user와 group 퍼미션에 s로 표시되고

stichy bit는 other 퍼미션에 t로 표시된다.

7777 : rwsrwsrwt

4777 : rwsrwxrwx (u+s)

2777 : rwxrwsrwx (g+s)

1777 : rwxrwxrwt (o+t)

chown, chgrp

소유자 또는 그룹소유자 변경

# chown [-R] [유저명] [대상]

# chown [-R] [유저명].[그룹명] [대상] - 비표준명령

# chgrp [-R] [그룹명] [대상]

ex) chown st01 aa

chown root.root aa

chgrp st aa

umask

기본 퍼미션 설정

• 파일이 생성될 때 퍼미션중에 제외될 퍼미션을 지정

• 기본 umask는 022(0022)

- 디렉토리 퍼미션 : 755(0755), 파일 퍼미션 : 644(0644)

 umask 명령

• umask 확인

# umask

• umask 변경

# umask [제외할 퍼미션]

# umask 077(0077)

: 생성되는 파일의 퍼미션은 700(0700)로 변경된다.

• /etc/profile 에 설정된다.

ex) umask 언마스크 확인

umask 022

 

파일의 속성

• a : 추가 모드로만 오픈 가능.

• i : 변경, 삭제, 링크 금지.

• s : 안전한 삭제.

• A : atime 갱신 불가.

• c : 커널에 의해서 압출 상태로 저장.

• d : dump 명령으로 백업 금지.

• j : 저널링.

• t : 하위 결합 불가.

• u : 삭제시 내용 저장.

• D : 디렉토리 실시간 동기화.

• S : 파일 수정 시 실시간 동기화

lsattr

파일의 속성 확인

# lsattr [옵션] [대상]

옵션

-d : 파일 형식으로 출력(대상이 디렉토리인 경우 사용)

-R : 하위의 모든 파일에 대한 속성 표시

-a : 숨김 파일 출력

ex) lsattr a.txt

chattr

파일의 속성 변경

# chattr [속성 연산] [옵션] [대상]

속성 연산

+ : 속성 추가

- : 속성 삭제

= : 해당 속성만 갖도록 설정 (이외 속성 삭제)

옵션

-R : 하위의 모든 파일 대한 속성 변경

ex) chattr +i a.txt

df

디스크의 마운트 상태와 용량 확인

옵션

-T : 파일 시스템 타입까지 출력한다.

-h :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한다.

ex) df -Th

fdisk

물리적인 디스크에 논리적인 파티션을 생성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 만들어진 파티션에는 mkfs 명령으로 파일시스템이

생성되고 mount 명령을 통해 특정 디렉토리에 마운트 된다

음 사용된다.

# fdisk 디스크명

# fdisk /dev/sda

ex) fdisk /dev/sdz

fdisk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명령

p : 현재 파티션 상태 출력

d : 파티션삭제

n : 파티션 생성

t : 파티션 변경

w : 저장 후 종료

q : 취소 후 종료

 

mkfs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만들어준다.

# mkfs –t [파일시스템 타입] 파티션명

파일시스템 타입과 명령어

mkfs -t ext2 -> mke2fs

mkfs -t ext3 -> mke2fs -j

ex) mkfs -t xfs /dev/sdb1

mount

파일시스템을 지정한 디렉토리에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도록 함.

# mount [-a] [-t [FStype]] [장치명] [디렉토리]

옵션

-a : /etc/fstab의 내용을 읽어 모두 mount 한다.

-t : 파일 시스템 양식을 정한다.

-o : 마운트 옵션을 추가로 지정한다.

. Noatime : atime을 갱신하지 않는다.

. ro : R Only로 정의한다.

ex) mount -t xfs /dev/sdb1

마운트 되어있는 디렉토리 및 장치 확인 방법

ex) df

umount

mount된 파일시스템을 시스템으로 부터 제거한다.

# umount [디렉토리명] 또는 [장치명]

ex) umount /home

umount UUID="156e1561f5e15ef156e1fef1561e5"

blkid

파티션의 정보 확인

# blkid

• UUID는 파티션의 고유 정보로 디스크의 위치가 바뀌어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 UUID는 mount 명령에서 이용 가능하다.

ex) blkid

xfs_admin

파티션에 다양한 파라미터를 변경하거나 확인한다.

# xfs_admin -L [라벨명] [장치명]

# xfs_admin -L “--” [장치명]

# xfs_admin -l(소문자) [장치명]

ex) xfs_admin -l /dev/sdb1 라벨명 확인

xfs_admin -L /home2 /dev/sdb1 라벨명 "/home2" 변경

findfs

UUID나 라벨명으로 장치명을 확인한다.

# findfs LABEL=[라벨명]

# findfs UUID=[uuid]

ex) findfs UUID="156r156f1e-126w-156w-1v5e-15g1h713v7"

findfs LABEL=/home2

명령어

작업 xfs ext4

파일 시스템 생성 mkfs.xfs mkfs.ext4

레이블 변경 xfs_admin e2label

크기변경 xfs_growfs resize2fs

복구 xfs_repair e2fsck

디버그 xfs_db debugfs

fstab

자동 마운트

/etc/fstab 파일은 시스템 시작 시 자동으로 mount할 파일

시스템의 목록이나 옵션을 저장한다.

UUID=19ec924c-871c-497a-b149-a70f1242r1g / xfs defaults 0 0

장치 마운트위치 파일 시스템 타입 옵션 dump 점검여부

# mount –a : fstab의 모든 목록을 mount한다.

ex) cat /etc/fstab

1. 스왑파티션 포맷 (mkfs)

# mkswap –c [장치명]

2. 스왑파티션 활성화(mount)

# swapon [장치명]

- swapon -s : 현재 swap 상태를 확인한다.

# swapoff [장치명]

3. /etc/fstab에 등록

ex) swapon -s 현재 swap 상태 확인

mkswap -c /dev/sdb1 swap 파티션 포맷

swapon /dev/sdb1 swap 파티션 활성화

 

YUM

YUM(Yellowdog Updater Manager; Modified)은 rpm의 고질적인 문제인

의존성을 해소하기 하기 위한 패키지 기술로 RPM과 동일한 형식의 설치 구조를 지원한다.YUM은 인터넷 repository를 이용하는 기술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지원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설치 관리 할 수 있다.

yum list

• 설치된 패키지를 확인한다.

# yum list

• rpm -qa 명령과 동일하다.

# yum list [패키지명]

• 지정한 패키지의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 yum repolist

• 시스템에 등록된 repository list를 출력한다.

# yum search 문자열

• 패키지명이나 description에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들을 출력한다.

# yum provides 경로/문자열

•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이 소속된 패키지들을 출력한다.

설치

# yum install [-y] 패키지명

• 패키지를 repository로 부터 설치한다.

업데이트

# yum update [-y] 패키지명

• 패키지를 repository로 부터 업데이트한다.

삭제

# yum remove [패키지명]

• 지정한 패키지를 삭제한다.

gcc

컴파일

gcc -o 만들파일이름 파일이름

ex) gcc -o ast07 ast07.c

자동 실행

부팅 시 자동으로 등록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vi /etc/rc.d/rc.local

내부 내용을 추가한다

Service

서비스 확인

systemctl list-unit-files

- 모든 서비스의 상태 확인

# systemctl [is-enabled | is-active] [서비스명]

- is-enabled : 자동 실행 등록 여부

- is-active : 현재 실행 여부

ex)systemctl is-enabled named.service

systemctl [enable | disable] [서비스명]

- [enable | disable] : 등록 및 등록 해제

ex)systemctl enable vsftpd.service

systemctl [start | restart | stop] [서비스명]

- [start | restart | stop] : 실행, 재실행, 종료

ex) systemctl start named.service

계정 접속 명령어

su - 유저아이디

exit 나가는 명령어

ex) su - root11